2006년 12월 22일 금요일

[번역] Variations on a Theme of Tchaikovsky, Op. 35a

Program Notes

Variations on a Theme of Tchaikovsky, Op. 35a

Anton Stepanovich Arensky (1861-1906)


The life of the Russian composer, pianist and conductor, Anton Arensky, almost reads like a Dostoyevski novel. Born to musical parents who gave him his first music lessons, he was already composing piano pieces and some songs by the age of nine. After taking private lessons he was admitted to the St. Petersburg Conservatory in 1879. There he studied with Rimsky-Korsakov who, while Arensky was still a student, entrusted him with a share in preparing the vocal score of the opera The Snow Maiden. Arensky graduated with the gold medal after only three years and was immediately given an appointment as a professor of harmony and counterpoint at the Moscow Conservatory. There he came under the influence of Tchaikovsky, who took the young composer under his wing and tried to promote his music, although he was as concerned about the heavy drinking and gambling engaged in by his student, a fact already noted by Rimsky-Korsakov. Tchaikovsky is said to have remarked: "Arensky is a man of remarkable gifts, but morbidly nervous and lacking in firmness and altogether a strange man."


러시아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인 안톤 아렌스키의 삶은 마치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과도 같다. 그는, 음악가인 부모에게서 태어나 처음 음악수업을 받았고, 9살에 이미 피아노곡들과 몇몇 노래들을 작곡하였다. 그는 개인레슨을 받다가, 1879년 성페테르스부르크 음악학교에 입학하였다. 그곳에서 아렌스키는 림스키 코르사코흐와 같이 공부하였는데, 그는 아렌스키가 아직 학생이었을때 오페라 "눈아가씨"의 보칼 부분을 같이 작업할 만큼 그를 신뢰했었다. 아렌스키는 3년만에 금메달을 받으며 졸업을 했고 곧 모스크바 콘서바토리의 화성학과 대위법 교수로 임명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차이코프스키의 영향을 받게되는데, 차이코프스키는 이 젊은 작곡가를 자기 밑에 두고 그의 음악을 발전시켰다. 그러나, 차이코스스키는, 일찌기 림스키 코르사코프가 지적했던, 아렌스키의 폭음과 도벽에 대해서 걱정했다. 차이코프스키는 다음과 같이 말했었다고 한다: "아렌스키는 뛰어난 재능을 타고난 사람이지만, 병적으로 신경이 예민하고 심지가 굳지도 못하여, 전체적으로 이상한 사람이다."


In 1894 Balakirev recommended Arensky to be his successor for the directorship of the imperial chapel in St. Petersburg. The following year Arensky resigned from his Moscow post to assume the directorship. Then, in 1901, Arensky gave up his post with the imperial chapel and with a rather meager pension ostensibly devoted the rest of his career to composition. For a period of time he gave very successful concerts both as pianist and conductor in Russia and abroad. However, despite his brilliant talent that was recognized everywhere, he became increasingly disorganized as his personality disintegrated. His chronic alcohol addiction began to take its toll on his health, and he succumbed to tuberculosis, dying at age 45 in a Finnish sanatorium.


1894년 발라키레프는 아렌스키를 본인의 성 페테르스부르크의 제국성당의 음악감독 자리를 물려줄 후계자로 추천했다. 다음해에 아렌스키는 모스크바의 교수직을 사임하고 음악감독직을 수락했다. 1901년에 아렌스키는 제국성당 자리도 사임하고, 좀 불충분한 연금소득으로 살아가면서 그의 남은 생애를 작곡에 몰두하면서 살게 된다. 그동안, 그는 피아니스트와 지휘자로서 러시아 국내와 해외에서 아주 성공적인 연주회를 열기도 했다. 그러나, 널리 알려진 그의 빛나는 재능에도 불구하고, 그의 성격은 붕괴되어갔고, 생활도 무너져갔다. 만성적인 알콜중독으로 그의 건강은 상하기 시작했다. 그는 결핵으로 쓰러졌고, 45세에 핀란드의 요양소에서 사망했다.


Arensky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eclectic Russian composers of his generation. Among his works are three operas, two symphonies, four suites for two pianos, songs and music set to Pushkin poems, a ballet, a piano concerto, chamber pieces and works for solo piano. Yet Arensky is remembered chiefly for his having taught Rachmaninoff, Scriabin and Glière as well as for his popular Piano Trio No. 1 in D minor.


아렌스키는 그 시대에서 가장 절충주의적인 러시아 작곡가들 중 하나로 생각되어진다. 그의 작품들은, 3개의 오페라와, 2개의 교향곡, 4개의 두대의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그리고 푸쉬킨시에 붙인 음악, 발레곡, 피아노협주곡, 실내악작품들, 피아노 독주곡들이다. 그러나, 아렌스키는 주로, 라흐마니노프, 스크리아빈, 글리에르를 가르쳤던 사실과 그의 유명한 피아노 삼중주 1번 d 단조로 기억되고 있다.


The Variations on a Theme by Tchaikovsky has an interesting history. Tchaikovsky, whom Arensky so intensely admired, had written a lengthy elegiac piano trio in 1881 in memory of his friend Nikolai Rubinstein, and in it incorporated a set of variations. When Tchaikovsky died in 1893, presumably as the result of suicide, Arensky, to express his grief, composed an elegiac String Quartet in A minor, Op. 35 that he dedicated to Tchaikovsky. The A-minor quartet has the unusual combination of violin, viola and two cellos, although a later version has been arranged for the traditional string quartet. The second movement of this quartet consists of a set of variations based on Tchaikovsky's Children's Songs, Op. 54, No. 5, "Legend: When Jesus Christ was but a little child." This set of variations became such an immediate success that Arensky himself published it as a separate work for the standard string quartet ensemble as well as for string orchestra. It is in the latter form, as will be played in tonight's concert, that the "Arensky Variations" has become established in the concert repertoire as the composer's most lasting orchestral work, long after his other major works have been forgotten.


차이코프스키 주제에 의한 변주곡은 흥미로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아렌스키가 상당히 존경했던 차이코프스키는 1881년 친구인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을 추모하는 긴 슬픈 가락의 피아노 삼중주를 작곡하였고 이곡에는 변주 부분이 들어 있었다. 차이코프스키가 1893년 자살로 추정되는 이유로 사망하였을때 아렌스키는 그의 슬픔을 표현하는, 슬픈 현악 사중주 가단조 작품 35번을 작곡하여 차이코프스키에게 헌정하였다. 이 가단조 사중주는 바이올린, 비올라, 두대의 첼로로 연주되는 특이한 구정을 가지고 있는데, 나중에 통상적인 사중주 버전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으로 편곡되었다. 이 사중주의 2악장은 차이코프스키의 "아이들의 노래" 작품 54, 1번, "전설: 예수 그리스도는 단지 어린아이었다네" 에 기초한 변주곡으로 구정되어 있다. 이 변주곡들은 아렌스키는 자신이 스스로 이 작품을 통상의 현악사중주와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별도의 작품으로 출판하여, 즉각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아렌스키 변주곡"은, 오늘밤 연주되는 것처럼, 이 작곡가의 다른 작품들이 현재 상당부분 잊혀졌지만 여전히 가장 오래도록 인기있는 오케스트라 작품 콘서트 레퍼토리가 되었다.


The theme, the melody of the Tchaikovsky song, is presented simply. Six variations follow, expressing in turn: lyricism, wistfulness, melancholy, and dramatically explosive energy, all with the dark underpinnings that are so characteristic of Tchaikovsky's music. The seventh and last variation strikes one as having been borrowed from Tchaikovsky's famous Andante Cantabile. The work closes in a muted coda in which the poignant theme is heard again before giving way to a wailing chant that ends abruptly with simple pizzicato chords.


주제-차이코프스키의 선율-는 간단하게 제시된다. 6개의 변주가 뒤이어 나와 감정을 표현한다: 서정, 동경, 우울, 그리고 드라마틱하게 폭발하는 에너지. 모두 차이코프스키 음악의 성격인 어두운 분위기이다. 7번째와 마지막 변주는 차이코프스키의 유명한 안단테 칸타빌레에서 빌려온 느낌이 든다. 이 작품은 사무치는 주제를 다시 들려주고 훌륭한 노래가 단순한 피치카토 코드로 갑자기 끝나는, 약음된 종결부로 끝난다.


출처: http://cmd.ophth.uiowa.edu/hancher/stmartin.html




The Russian composer, conductor and pianist Arensky was a pupil of Rimsky-Korsakov at St. Petersburg Conservatory and later taught at the Moscow Conservatory, where his pupils included Rachmaninov and Scriabin. His compositions often reflect the influence of other composers, more particularly that of Tchaikovsky. He was musical director of the Imperial Chapel in St. Petersburg from 1895 until 1901 and thereafter continued his career as composer, pianist and conductor, travelling widely in the last two capacities. He died in 1906.


러시아 작곡가, 지휘자, 피아니스트인 아렌스키는 성페테르스부르크 컨서바토리에서 림스키 코르사코프의 학생이었고 나중에 모스크바 컨서바토리에서 라흐마니노프와 스크리아빈 등을 가르쳤다. 그의 작곡들은 종종 다른 작곡가의 영향을 받았는데, 차이코프스키의 영향이 가장 특별하다. 그는 1895년부터 1901년까지 성페테르스부르크 제국성당의 음악감독이었고, 그후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로서 경력을 지속했고, 지휘자, 피아니스트로 연주여행을 다녔었다. 그는 1906년에 사망했다.


<고클에 등록되어 있는 음반>

ARENSKY: Variations on a theme of P.I.Tchaikovsky in E minor op.35 등록된 음반: 6종

 아렌스키: P.I.차이코프스키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 마 단조 작품 35   (전곡녹음 - 녹음연 도순)
 1987   Evgeny Svetlanov
 1989/05   Mark Ermler
 1990   Saulius Sondeckis
 1996/05   Hyo Kang
 2001/12   Valery Polyansky
 ⓟ1965   sir John Barbirolli

2006년 12월 20일 수요일

[스크랩&번역] 활비브라토....ㅡㅡ;;

언젠가부터 초보자들이 활 힘조절을 못해서 덜덜 떨면서 활긋기를 하는 것을... 활비브라토라고 부르는 것이.... 바친기 공식용어로 굳어진 듯합니다^^;; 그런데, 사실은 정말 "활비브라토"라는 것이 있습니다..^^


Matthew Loucks라는 분의 올 11월 헨델의 메시아 공연 프로그램노트에서 다음 내용을 발췌했습니당..

http://www.earlymusiccolorado.org/emc_article.html


Several Baroque bowing techniques have also been incorporated into tonight’s performance which on the outset might appear unorthodox or awkward to many performers (and listeners) but nevertheless are essential to the process of recreating a more “authentic” Baroque sound.   

 

One example is the technique referred to as “bow-vibrato” which is described in both Leopold Mozart’s and Quantz’s Treatises.  Bow-vibrato was performed by drawing the bow across the string(s) while gently applying pressure with the index finger at varying rhythmic intervals creating a distinct “pulsating” or “tremelo” effect.  Many string players today mistakenly interpret “bow-vibrato” as “portato” which is entirely different but is notated in a similar fashion.  Händel calls for “bow-vibrato” in movement #2 (Comfort Ye…) as well as movement #36 (I know that my Redeemer liveth ..).


이야기인즉슨... 메시아 두군데에 헨델이 활비브라토를 하라는 지시를 해놓았다는 것인데요... 이 활비브라토는 예전 바로크시대 활테크닉 중의 하나로... 활을 현에 그으면서, 여러가지 리듬간격으로 검지로 활을 눌러주면 진동하거나, 트레몰로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것이지요. 요즘 연주자들은 활비브라토를 포르타토와 같은 것으로 해석하지만, 그것은 잘못된 것이라는 내용입니다..


활비브라토라는 것이..... 초보자들의 경우처럼 무의식중에 덜덜 떨리는 것은 아니지만, 검지로 의식적으로 활을 눌러 결국... 음을 떨리게 하는 효과를 내는 것이니... 어쨌든, 활로 떨리는 소리를 내는 것은 맞기는 맞습니다..ㅡㅡ;;




그리고 하나 더.. 개방현에서 비브라토를 하는 법!

물론 위에서 말씀드린 활 비브라토 (초보용이건 바로크용이건 간에..^^) 하시면 되겠지만, 정석 (과연 정석인지는... 미확인..)은 이렇다는 군요.


http://www.violintips.com/info/vibrato.html

Believe it or not, there is a way to get a vibrato 'effect' on an open (unstopped) string. This is usually only used for the open G string, because it is the only note on the violin that there is no alternate 'fingering' for. (That would be the open C string on viola).

The way you do this is to stop the note one octave above the open string with your finger, on the next highest string (ex. G, 3rd finger on the D string), and apply vibrato to that note, while playing only the open string below. This creates a shimmering vibrato sound for the open string.

This happens because the vibration of the open string creates a sympathetic vibration in the string next to it (especially when it is one octave higher). And because you are applying vibrato to that higher octave, it passes the effect back to the open string in a similar way, through sympathetic vibrations. It also affects the overtones of the open string.


http://www.philharmonia.co.uk/thesoundexchange/the_orchestra/strings/cello/vibrato/ (첼로에 관한 내용이지만, 유사한 내용이 맨 끝에 있지요)


즉.... 바이올린의 경우, 가장 낮은 G음을 개방현으로 연주하는 경우에.. 보통의 경우처럼 비브라토를 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용되는 것인데....  한 옥타브 위의 G음 (즉, D선의 1포지션 솔)을 누르고, 낮은 G선을 개방현으로 연주하면서 한 옥타브 위의 G음을 비브라토를 해주면, 공명현상을 통해서, 비브라토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무튼.. 자세한 내용이 뭐가 되든지.... 활비브라토라는 고난이도 테크닉을 구사하는 초보 여러분들 (저를 포함해서^^) 화이팅입니다^^;;

2006년 11월 16일 목요일

뉴욕필하모니 내한공연 11월15일

New York Philharmonic Orchestra & Lorin Maazel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 11월15일 8시

DVO?AK       Carnival, Op. 92
RACHMANINOFF Rhapsody on a Theme of Paganini for Piano and Orchestra, Op. 43
Joyce Yang

Intermission

BEETHOVEN Symphony No. 3 in E-flat major, op. 55, “Sinfonia eroica”
Allegro con brio
Marcia funebre: Adagio assai
Scherzo: Allegro vivace
Finale: Allegro molto ? Poco andante ? Presto

-----------------------------------------------------------------------------------------

(망할 네이버.... 또 에러나서 다 지워졌다.. 확인 버튼 누르기 전에 저장을 했어야 했는데... 으..... 확 쓰지 말까부다.)


베를린필도 비싸서 못갔고, 빈필도 비싸서 못갔다. 런던심포니와 런던필은 갔었지만... 그래도..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의 공연을 서울에서 볼 수 있다는데.. 왠만하면.. 가보자.. 생각했다. 뉴욕필. 별로 믿진 않지만, 세계 3대 오케라지 않는가.. 좋은 자리는 언감생심.. 합창석을 예매했다. 두 장. 유명한 오케에.. 상당히 대중적인 곡들이라서, 남편도 데리고 갈 만하겠다.. 생각했다.


공연전날.. 정말 화나는 일이 생겼다. 남편과 같이 공연을 가고 싶지 않게 되었다.. 까짓 표.. 한장 날리지 뭐.. 싶었다. 하지만.. 어찌어찌 하여.. 결국은 같이 가게 되었다. 늦을까봐 지하철을 타고.. 부랴 부랴 갔다. 콘서트홀을 메우고 있는 사람들.. 앙드레김도 있고, 아는 대학 후배도 있고, 잘 차려입은 아줌마 아저씨들.. 소위 접대관객들인가.. 뭐 하여간 사람이 많았다. 이 사람들.. 이 다 클래식 팬일리는 없겠지. 음악을 들으러 오는 건지. 공연 의식에 참여하러 오는 건지.. 나도 모르겠다.


무대에는 이미 단원들이 한 가득 앉아서 연습도 하고 악기도 보고, 이야기도 하고 있었다. 관객은 관객대로 단원들은 단원들 대로.. 그냥 자유로운 분위기... 생각보다 오케 단원 수가 많지 않았다. 뒤에서 봐서 그렇게 느껴진 걸까? 음.. 그런데.. 자리가.. 영.. 맘에 들지 않았다. 내 바로 앞에는 금관이 쭉 배치 되어있었다.. 그것도 튜바, 트럼본, 트럼펫... 그 옆엔 콘트라 베이스 군다.. 에고고..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제대로 듣긴 어렵겠다.. 싶었다.


로린마젤 할부지 등장. 인사 한번 하고 바로 시작. 첫곡은 드보르작의 사육제 서곡. 뭔가 했더니.. 많이 들어본 곡이다. 음.. 역시 대중적인 선곡. 나쁘지 않았다. 아니.. 괜찮았다. 뉴욕필이라더니.. 이름값을 하는군... 싶었다.


이어서 피아노가 들어오고, 빨간 드레스를 입은 조이스양(양희원)이 마젤과 같이 들어왔다. 드디어 시작한 라흐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 너무나 아름답고 듣기 좋은 곡이라... 기대를 했는데... 우째... 상당히 산만하다. 피아노가 멀어서 그런가? 1바가 너무 먼가...? 뭐지? 뭐지? 더군다나... 고매한 관객들의 집요한 연주회 감상방해... 해도 너무한다. 특히 곡 중간 유명한 선율이 흐르는 부분의 엔딩부분.. 피아노가.. 아주 아주 조용히 엔딩을 하는 부분에서.. 들리는 잡음은 정말 견디기가 어려웠다.. 아.. 이 산만함이 관객들 탓인가...;;; 단체로 기침감기에 들린듯.. .기침소리도 끊이질 않고.. 음악에 집중하지 못하는 나 자신이 문제인가.. 아니면 다른 관객들이 문제인가...


피아노는 나쁘지 않았으나. 특별히 감동적이지도 않았다. 오케는 뉴욕필의 연주치곤 그저 평이했다. 그저 평이한 정도...를 기대한건 아니지만.. 내가 문제인가. 음악이 문제인가.. 모르겠었다. 몇번의 커튼콜이 이어지고. 빨간옷을 입은 20살의 아가씨는 쇼팽의 무슨 꿈..이라고 제목을 말하고는 앵콜을 시작했다. 잘 모르는 곡... 음.. 내가 잘 모르는 쇼팽의 피아노 곡도 있구나..;;; 쇼팽콩쿨 듣고 마스터 한 줄 알았는뎅... 역시 우물안 개구리에... 과문하기 이를 데없는.. ㅠㅠ


인터미션에 나가서 자판기 커피 한 잔 마셔주고. 들어왔다. 영웅.. 내가 언제 영웅을 들어봤더라? 수십년전이 아닐까.. 주선율도 생각이 안났다. 에라.. 들으면 기억나겠지 뭐.. 마젤이 무대에 나타나자 현이 악기를 올렸다. 마젤은 지휘단에 올라서자마자 지휘봉을 휘두른다. 아... 맞다. 이 멜로디. 이게 영웅 1악장이지... 친숙한 멜로디 친숙한 곡.  그런데.... 묘하게.... 산만하다. 왜 산만하지? 역시 관객탓인가? 아니.. 그건 아닌데.. 매끈한 현의 소리 (좋은 악기들임에 틀림없다.) 발군의 오보에 (중국아저씨 일까? 프로그램이 만원이나 해서 짜증나서 안샀더니 모르겠다.) 깔끔한 호른.. 뭐가 문젤까? 그리고 2악장. 역시 산만하다. 영웅의 이야기를 머리 속에서 떠올려 보려고 했다.. 이 부분은.. 아다지오이니.. 영웅의 어려운 시절을 그린 걸꺼야.. 그런데.. 도무지.. 어떻게 얼마나 어려운 건지 알 수가 없다. 그저.. 산만하다. 그리고는 이어지는 3, 4악장. 영웅은 성공을 한걸까? 영웅이 되긴 한건가... 4악장 마지막에선.. 약 5초간.. 졸립기까지 했다. 바로 피날레가 나와서...다행이었다.


뉴욕필... 잘하고 있는건가.. 아닌가.. 내가.. 음악을 도무지 이해하지 못하는 걸까? 역시 박수가 이어지고. 갈 사람 나가고.. 몇명의 단원들이 보충되더니. 앵콜이 시작되었다.


첫곡은 바그너, 트럼펫 앞에 뉘른베르크의 명가수 악보가 펼쳐져 있더라... 1막 Prelude C major. 워낙에 유명한 멜로디.. 살짝살짝.. 하모니가 깨진 듯도 들렸으나.. 뭐 앵콜이지 않은가. 금관도 약간의 삑사리가 있었으나.. 뭐.. 기본이 훌륭했다. 오보에는 역시 훌륭.. (난 모든 오케의 오보에가 좋다.. 그냥 오보에 자체가 좋은 건가..;;;;)


두번째 곡도 바그너, 악보에 뭐라고 쓰여 있는지 모르겠다. 음.. 반지 중 발퀴레, 3막 전주곡 발퀴레의 기행이다. 엄청 유명한 곡. 금관이 주선율을 이끌고 나가는데, 내 자리가 금관과 가까운지라.. 엄청나게 파워풀하게 들렸다. 정말 깔끔한 금관. 이런 곡은, 금관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오케가 연주하기엔 정말 부담스러운 곡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뉴욕필의 금관은... 딱 이곡에 맞았다.


곡이 끝나자 뉴욕필은 더이상의 박수도 받지 않고 짐을 쌌다. 마지막곡의 선곡은 정말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힘차게 끝나는 곡.. 좋은 인상을 받게 만드는 군..


높으신 관객분들이 차를 빼느라 고생하실 동안, 우리는 길을 건너 택시를 잡으려다.. 마을 버스를 발견. 타고 오다가 택시를 타고 집으로 돌아왔다. 날씨가 엄청 추워져 있었다. 이번 뉴욕필의 공연은.. 바그너의 앵콜 곡들이 아니었다면.... 상당히.. 씁쓸할 뻔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2006년 11월 12일 일요일

상트 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11/8)

http://blog.naver.com/shubbiss/20030398590

■ 마에스트로_ 유리 테미르카노프
러시아의 영예로운 국민 아티스트이자 세계 정상의 지휘자 유리 테미르카노프는 1938년 날칙에서 태어나 레닌그라드 음악원의 무신 교수에게서 오페라 지휘를 수학한 후 1965년 졸업 후 레닌그라드 말리 아카데믹 오페라 & 발레 극장(Leningrad Maly Academic Theatre of Opera and Ballet)에서 첫 데뷔 무대를 가졌다.

1968년부터 1976년까지 레닌그라드 필하모닉 협회 산하의 아카데미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면서 지휘자로서의 경력을 시작한 테미르카노프는 1976년부터 러시아의 권위 있는 키로프 오페라 극장(현재 마린스키 극장)의 예술 감독과 수석 지휘자로 재직하였다. 그의 재임 당시 무대에 올려진 “에프게니 오네긴” 등의 작품들은 극장 역사상 최고의 무대로 손꼽힌다.

1988년 20세기의 위대한 지휘자 에프게니 므라빈스키의 뒤를 잇는 후계자로 전설적인 상트 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前 레닌그라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예술감독 겸 상임 지휘자로 임명되었고 현재까지 교향악단의 명성을 확고하게 지켜오고 있다. 1995년부터는 상트 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협회의 예술감독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1979년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런던 로열 오케스트라의 수석 객원 지휘자가 되었으며 1992년부터는 런던 로열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로, 1994년부터는 드레스덴 필하모닉 협회의 수석 객원 지휘자로 활동하였다. 1998년에는 덴마크 국립 방송 교향악단의 수석 객원 지휘자로 임명되었으며, 2000년부터 현재까지 미국 5대 교향악단 중 하나인 볼티모어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자로 활약해 오고 있다.

이밖에도 보스턴 심포니, 베를린 필, 뉴욕 필,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LA 필하모닉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하였고 최고 권위의 오페라 제작에 참여하였으며 다수의 음반을 녹음하며 1988년부터 BMG Classics와 함께 작업하고 있다.

■ 상트 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트 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러시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교향악단으로 1882년 “궁정 음악 합창단”을 전신으로 창단되어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대중들을 위한 연주회를 하게 되었다. 폴리나 비아르도, 클라라 슈만, 안톤 루빈스타인,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와 같은 역사적인 음악가들과 함께 연주하였으며 차이코프스키가 세상을 떠나기 6일 전 자신의 지휘로 직접 교향곡 6번을 초연하기도 하였다. 1910년대에는 러시아, 서유럽 음악을 집중 탐구하는 “Meetings of Musical News”, “Historical Concerts”에 참가하였다.

1917년 3월 상트 페테르부르크 필은 국립 오케스트라로 새롭게 출범하면서 1921년 페트로그라드 필하모닉 협회에 소속되었다. 이 기간동안 에밀 쿠퍼, 알렉산더 글라주노프, 세르게이 쿠세비츠키와 같은 저명한 지휘자들이 거쳐갔고 해외 출신의 오스카 프리드, 프리츠 슈티드리, 오토 클렘페레, 에릭 클라이버 등이 지휘봉을 잡았다. 또한 바르톡과 오네거, 카젤라, 힌데미트 같은 유럽의 저명한 작곡가들이 지휘자로서 혹은 협연자로서 교향악단과 함께 활동하였다.

최초의 국립 오케스트라 상트 페테르부르크 필은 ‘Academic & Honoured Orchestra of Russia’의 지위를 인정 받은 첫 교향악단이자 외국으로 연주 여행(1946년)을 간 러시아의 첫 교향악단이다. 1938년부터는 20세기를 장식하는 가장 위대한 마에스트로 중 한 사람인 에프게니 므라빈스키가 50여년간 상임 지휘자로 재직하였으며 역사적인 거장 레오나드 스토코프스키, 문쉬, 이고르 마르케비치, 코다이와 브리튼이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1988년 므라빈스키 사망 이후 러시아 최고의 지휘자 유리 테미르카노프가 뒤를 이어 오케스라의 상임 지휘자로 임명되었다. 현재 상트 페테르부르크 필은 세계를 무대로 유수한 국제 음악제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베를린 필, 빈 필,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세계 5대 교향악단의 하나로 인정 받고 있다.

■ 피아니스트_ 블라디미르 펠츠만
이 시대를 대표하며 그만의 독특한 음악세계와 끊임없는 실험정신으로 전세계 음악팬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피아니스트 블라디미르 펠츠만은 1952년 모스크바의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나 6세 때 피아노를 시작하였고, 11세 때 모스크바 필하모닉과 협연으로 데뷔했다. 1969년 모스크바 콘서바토리에 입학, 야코프 플리에르 교수의 지도 하에 피아노를 공부했고, 모스크바 음악원과 레닌그라드 음악원에서는 피아노와 더불어 지휘법도 공부했다. 1971년 파리의 롱-티보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이를 계기로 소련을 비롯하여 유럽, 일본 등지에서 연주여행을 하게 되고, 그 이후 무섭게 떠오르게 된다. 펠츠만은 이미 10대 때 많은 레퍼토리를 섭렵하였고, 그 때부터 자유롭고 개성 있는 해석으로 주목을 받았다.

1979년 소련 정부의 독재적인 문화적 통제에 대한 불만이 커짐에 따라 펠츠만은 음악적 자유를 위해 소련으로부터 다른 나라로의 이주를 신청하였다. 그 결과, 소련정부는 그가 공공장소에서 연주하는 것을 금지 하였고, 이어진 8년 동안의 투쟁과 예술계에서의 추방 기간을 거쳐 그는 결국 소련 정부로부터 다른 나라로 이주하는 것을 허락 받았다. 1987년 미국에 망명한 그는 그가 북미에서 처음 연주 한 곳인 백악관에서의 따뜻한 환영을 받았다. 같은 해, 그의 카네기홀 데뷔는 그를 미국 정상급 피아니스트로 입지를 굳히게 했다.

펠츠만의 레퍼토리는 바로크에서 현대음악에 이르기까지 방대하다. 그는 그의 음악적 일생을 바흐의 음악을 연구하는 데 쏟아, 뉴욕의 티쉬센터에서 바흐의 주요 건반작품들을 선보이는 연주회를 1992년부터 1996년까지 매년 4번의 시즌에 걸쳐 개최하였다. 또한, 그는 최근 프로젝트로 쇼스타코비치부터 현시대 러시아 작곡가 14명의 음악까지 현대 러시아 음악을 파노라마로 선보이는 시리즈를 펼쳐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또한 미국 정상급 오케스트라(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로부터 정기적인 초청을 받는 펠츠만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콘서트 시리즈와 뮤직 페스티벌에서 연주하고 있다.

펠츠만은 현재 뉴욕 주립대 피아노과 학과장이며 뉴욕 매네스 음대에서도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그는 피아노를 전공하는 학생들을 위한 1달 동안의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프로그램을 갖추어 전 세계 음악인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뉴 팔츠 여름 피아노 페스티벌의 설립자이자 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펠츠만의 음반은 소니 클래식, 뮤직매스터스, 멜로디야 레이블을 통해 출시되었다. 바흐 클라비어 곡으로 구성된 여섯 장의 음반, 베토벤 후기 피아노 소나타 다섯 곡, 슈베르트 피아노 독주곡, 쇼팽, 리스트, 브람스, 메시앙, 바흐, 쇼팽, 차이코프스키, 라흐마니노프, 프로코피에프 협주곡 등을 포함한다

------------------------------------------------------------------------------------


차이코프스키 오페라 <예브게니 오네긴> 중 폴로네이즈
Tchaikovsky Polonaise from “Eugene Onegin”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제1번
Tchaikovsky Piano Concerto No.1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제5번
Shostakovich Symphony No.5

-------------------------------------------------------------------------------------

오전에 근무를 하고.... 오후에 아산병원에 갔었다. 1년에 한번 있는 건강검진. 이번엔 내시경을 해야겠다고 생각을 했었고.. 이왕이면 안아프게... 수면 내시경을 했다. 약간 정신이 없는 상태였지만.. . .시간도 넉넉하고, 집에와서 약간 휴식을 취한 후에 예당으로 지하철을 타고 출발했다.

 

시간도 알맞게 도착. 예약해 놓은 합창석 맨 앞자리에 자릴 잡았다. 악기 배치를 보니, 금관과 팀파니가 반대쪽 합창석 앞 (오른쪽 뒤)쪽에 배치되어 있었다. 소리가 왜곡되어 들릴 걱정은 좀 덜했다. 피아노 소리가 관에 묻히면 정말 죽음이라고 생각했었기 때문에 상당히 안심이 되었다.

 

첫곡인 차선생의 예브게니 오네긴. 처음 듣는 곡이었지만, 역시 차선생의 곡 답게 듣기 편한 곡. 오케의 사운드는 첫 곡부터 화려했다. 역시 유명 오케는 다르군... 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두번째 곡은 기대하던 차선생 피협1. 수없이 들었던 곡이지만, 사실 실황은 처음이었다. 이걸 들으려고 예매한 거나 마찬가지였으니... 블라디미르 펠츠만의 1악장 피아노는 힘찼고, 매끈했다. 귀에 익은 선율과 화음이 2, 3악장 까지 연결되면서 피아노는 점점 더 좋아졌고, 오케는 세련되고 파워플한 사운드를 계속 들려줬다. ... 멋지다.. 생각하면서 은근히 후반부의 쇼심5번을 기대하고 있었다.

 

인터미션에 뭘했더라... 그날은 정신이 몽롱했다. 피로가 엄청나게 몰려들고 있었던 것 같다. 보통은 나가서 자판기 커피를 사먹거나, 주차권을 구입하고, 집에 전화도 한통 해주고... 뭐 그런 일을 하는데.. 그날은 꼼짝을 하고 싶지가 않았다. 그냥 좀 앉아서 프로그램을 읽다가, 눈을 감고 약간이라도 휴식을 취해보려고 했다. 하지만 잠은 아직 오지 않았고... 그냥 피곤했다.

쇼심 5. 저번 BBC가 왔을 때 피로를 못이기고 졸았던 기억에.. 오늘은 꼭 정신차리고 들어야지.. 생각하고 있었다. 1악장. 오케의 사운드는 정말 나무랄 데가 없었고. 곡은 아름다웠고 힘찼다. 그런데.. 내 정신은 점점 희미해져 가고 있었다. 역시 수면내시경의 후유증인가..... 계속 듣고 싶어하는 내 의지로 완전히 잠들지는 않게 했고, 오케의 멋진 사운드를 들리게는 했으나... 내가 들을 수 있는 것은 사... 였지, 심포니 5번이 더이상 아니었다. 곡의 맥락과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는 정신상태가 되지 못했다.

 

아쉬움을 뒤로 하고... 곡은 끝났고, 환호, 박수... 이어지는 앵콜은 엘가와 프로코피에프의 로미오와 줄리엣... 이라고 했다. 두번째 앵콜은 많이 귀에 익은 곡. 정신이 워낙 혼미하여.... 오케가 완전히 퇴장하기전에 나와... 택시를 잡아탔다. 비가 내리기 시작하고 있었다.

 

연주회장에서. 내 옆에는 50대 부부로 보이는 아저씨와 아줌마가 앉아이었다. 무심결에 들리는 대화 내용으로 미루어 보건데, 이 부부는 상당히 음악회에 자주 다니는 분들 같았다. 어디서 언제한 누구누구가 나오는 공연이 어쨌네 저쨌네... 그런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난 오페라는 유치해서 싫어.. 뭐 그런 이야기도 했었던 것 같다. 그런데..... 잠시 후..."유리 테미르카노프.... 유리가 성이야 이름이야?" ㅡㅡ;;; "유리가 성이지.(단호)" ".. 그렇구나. 유리가 흔한 성인가 보네, 그 나라는. 유리 바슈메트도 유리잖아." "그렇지" "그럼 블라디미르 펠츠만의 블라디미르도 성이네... 아 맞다. 아쉬케나지도 블라디미르지.." "블라디미르도 흔한 성인가 보네" "이 나라도 우리나라 처럼 성이 앞에 오는 구나"........... 할말이 없었다. 이 사람들이 나 재밌으라고 농담하는 건 아닐 테고.... 멀쩡한, 있어보이는 중년 부부가... 왜 이런.. 대화를....

 

그래도, 나름 스스로를 콘서트고어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결국 수면내시경의 기운을 못 이기고 혼미한 정신으로 후반부 공연을 망쳐버린 나에 비하면.. 그 부부.. 성과 이름이 어찌되었던, 음악을 맘껏 즐길 수 있었다면야... 쇼심 5번을 정신 차리고 즐길 수 있던, 성과 이름을 헷갈리던, 그 아줌마가... 정말 부러워 지는 저녁이었다.

2006년 11월 3일 금요일

헨델 <메시아> 원전연주회 - 제2회 서울국제고음악페스티벌 메인연주회

헨델 <메시아> 원전연주회 - 제2회 서울국제고음악페스티벌 메인연주회

일    시 : 11월 3일(금) 저녁 8시
장    소 :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헤이그왕립음악원 (Koninklijk Conservatorium)

네덜란드 윌리엄 국왕에 의해 1826년에 설립된 헤이그왕립음악원은 세계 최고, 최대 규모의 資슭?학교로, 그 역사적 전통은 물론 클래식 음악의 출발지인 유럽의 중심에서 깊이 있는 학문의 탐구와 과학적인 분석, 실용적인 응용에 까지 다양한 커리큘럼을 통해 세계 최정상의 고음악 교육 기관으로 전 세계에 많은 예술인을 배출하였다.

음악 역사상 최고의 첼리스트 10인으로 꼽히는 안너 빌스마, 쿠이켄 형제, 암스텔담 바로크 오케스트라의 수장 톤 쿠프먼, 그리고 최근 내한 연주회를 갖었던 잉글리쉬콘서트의 앤드류 맨쯔 등 당대 최고의 연주자가 헤이그왕립음악원 출신이거나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로 함께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헤이그왕립음악원은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고음악이 가진 깊이와 감동을 전하는 메신저로서 그 역할을 다할 것이다.


지휘 - 자크 오그 (Jaque Ogg)

하프시코디스트이자 포르테피아니스트이자 또한 지휘자. Gramaphone, Accent, Harmonia Mundi, Channel, Arkiv, Sony, EMI, Philips, Glossae등 유럽의 고음악 주요 음반사에서 만날 수 있었던 Jacques Ogg는 세계 정상급 바로크 오케스트라 Lyra Baroque Orchestra의 디렉터이며, 헤이그 왕립음악원의 교수이다.


악장 – 카티 데브렛제니 (Kati Debretzeni)

소프라노 – 에스더 에빈게 (Esther Ebbinge)

카운터 테너 – 피터 드 그루트 (Peter de Groote)


-----------------------------------------------------------------------------------

(메시아의 리뷰를 다 썼었는 줄 알았는데... 음.. 이제야 쓰게 되는군..)


위에서 추가한다면, 테너는 박승희씨였다는 것... 또 한분은 한국분인데 이름이 기억 나지 않지만, 정말 멋진 목소리를 가진 분이었다.


메시아... 중학교 때.. 메시아 테이프가 있었는데, 내가 산 것 같진 않았고 아마 큰오빠가 어디서 사온 것을 내가 맘에 들어서 계속 들었던 것 같다. 나름대로 메시아 전곡의 가사도 있었고... 지금은 그 테이프가 없어져서... 다시 찾아볼 수도 없고 그게 누구의 연주였는지 기억이 나질 않는다. 하지만, 난 정말 헨델의 메시아가 마음에 들었었다. 테이프가 거의 망가지기 직전까지 반복해서 들었고 몇몇 곡은 따라 부르면서... 들었었다. 그 땐 미션 스쿨에 다녔고, 종교에 관심도 많았었고... 그래서 그랬는지도 모른다. 어쨌거나, 곡 자체가 워낙 훌륭한 것은 사실인 듯 하다.


이번엔 원전연주로 감상을 한다. 원전악기로. 메시아를.. 헨델이 생각하던 그 음악이 될까... 기대를 했다. 슈클에서 공동구매한 티켓의 합창석을 구매했다. 성악곡을 합창석에서 듣는 것이 얼마나 무리한 짓인지 알면서도... 티켓값의 압박으로 결국 합창석을 신청하고 말았다. 뭐.. 악기 구경하기엔 합창석만한 자리도 없다.. 생각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티켓창구에서 표를 받았는데... 음... 이상하다.. 합창석이 아니라 1층이었다. 내가 분명히 합창석을 부탁했는데....하면서. 에라 모르겠다. 입장을 했다.


자리에 앉아서도.. 분명히 합창석이었는데.. 라는 생각에.. 불안불안.. 결국 다시 창구로 가서 물어보고야 말았다. 저.. 혹시 표를 잘못 주신것 아니신가요? ... 아.. 업그레이드 해주신거에요?... 겨우 안심하고는 자리로 돌아왔다. 주위를 둘러보니, 객석이 반 정도 찰것으로 대충 예상... 앞의 R석으로 이동이 가능하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불이 꺼지자 마자... 잽싸게 앞으로 이동.. 상당히 무대에서 가까운 자리에서 전곡을 감상할 수 있었다. 야호!


피치가 상당히 낮은 듯 했다. 원전연주이기 때문에 그렇게 느껴졌던 걸까? 어쨌거나.. 피치는 상당히 낮았고. 하프시코드와 챔발로가 동시에 연주되는 것도 신기했다. 원래 악보가 그런걸까? 오케스트라는 완전히 헤이그 왕립음악원오케는 아닌 듯 보였다. 저번의 카메라타 안티구아 서울의 낯익은 얼굴들이 몇 있었다. 합창단은 모두 백인들이니.. 그쪽 사람들이 맞는 듯했다.


메시아의 곡은 역시 훌륭했고, 아름다왔고, 몇몇 곡은 따라 흥얼거리고 싶을 정도로 친숙했다. (내 옆의 아줌마는 실제로 흥얼거리는 걸.. 내가 째려봐줬다...) 4명의 솔리스트 성악가들도 멋졌는데. 카운터 테너인 피터 드 그루트는 신기한 목소리를 가지고 있었다. 그 목소리는 아름답다기 보다는 남자의 가성 느낌인 목소리였는데... 이는 옛날의 카스트라토와는 많이 다른 소리일 듯 했다. 소프라노 에스더 에빈게의 노래도 아름다왔고... 가끔 합창을 할때 따라부르고 있는 그녀의 모습은 메시아를 즐기고 있는 듯했다. 박승희씨는 월요일 몬테베르디에 이어.. 두번째. 또다른 분...의 목소리는 정말 좋았다. 낮지만 맑은 목소리.


인터미션을 포함... 연주는 거의 11시가 되어서야 끝났다. 앵콜은 물론 없었다. 난 은근히 할렐루야를 기대했지만.. 이미 너무 늦은 시간이었던 듯하다.

2006년 10월 31일 화요일

몬테베르디, 성모마리아의 저녁기도

공연개요
가톨릭인터넷 굿뉴스에서는 묵주기도성월을 보내면서 10월의 끝자락에 묵상음악회를 마련하여 몬테베르디의 1610년 작품 "성모마리아의 저녁기도" 전곡연주회를 뜨리니따스합창단을 비롯한 여러단체와 솔리스트를 초청하여 한국초연 합니다.

곡해설
"성모 마리아의 저녁 기도"(Vespero della Beata Vergine, 1610)는 르네상스에서 바로크로 넘어가는 전환기적 시기에 가장 위대한 업적을 남긴 작곡가로 꼽히는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Claudio Monterverdi, 1567~1643)의 대표적인 교회 음악 작품이다.
미사(Mass)와 함께 가톨릭교회의 주요 전례인 시간 전례 中 하루의 해가 저물어 갈 때 바치는 '저녁 기도'는 시편 노래가 중심이 되는 전례로, 몬테베르디의 "성모 마리아의 저녁 기도"는 시편 다섯 곡과 각각의 시편 곡과 짝을 이루는 다섯 곡의 교회 콘체르토, 찬미가 '아베 마리스 스텔라', '마니피캇' 등 모두 13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모 마리아의 저녁 기도"는 그의 6성부 미사곡과 함께 묶여 베니스에서 출판되었고 출판된 그 해(1610) 가을 교황 바오로 5세에게 헌정되었다.
교황에게 헌정했을 만큼 음악적 규모나 내용에 있어서 작곡가의 역량이 충분히 드러난 大作이지만, 작곡 배경과 내력에 있어 미스테리한 부분이 많은 곡이다.
해석과 연주의 측면에서 수많은 이견과 다양한 해결 방법이 존재하는 이 작품의 음악사적 의미는 매우 중요하게 평가받고 있다.

프로그램
성모마리아의 저녁기도 가사전문 다운받기

1.합창(6성부)
      Deus in adiutorium / Domine ad adiuvandum (주님, 저희를 도와 주소서)

2.그레고리오성가
     안티폰 Laeva eius sub capite meo  (그의 왼팔은 내 머리 밑에 있고)  

3.합창(6성부)과 솔로앙상블
     시편 109편 Dixit Dominus (주님께서 말씀하셨도다)

4.테너 솔로
     콘체르토 Nigra sum (나 비록 가뭇하지만)

5.그레고리오성가
     안티폰 Jamhiems transiit  (이제 겨울은 지나고)

6.합창(8성부)과 솔로앙상블
     시편 112편 Laudate Pueri (주님의 종들아, 찬양하여라)

7.소프라노 2중창
     콘체르토 Pulchra es (그대, 나의 짝은 아름답고)

8.그레고리오성가
     안티폰 Intravit Maria in domum Zachariae  (마리아가 즈카르야의 집에 들어가)  

9.합창(6성부)과 솔로앙상블
     시편 122편 Laetatus sum (주님의 종들아, 찬양하여라)

10.테너 3중창
     콘체르토 Duo Seraphim (두 천사가 서로 주고 받으며 외쳤다)

11.그레고리오성가
    안티폰 Regali ex progenie Maria (왕가의 후손인 마리아)

12.합창(10성부)
    시편 127편 Nisi Dominus (주님께서 집을 세우지 아니 하시면)

13.테너 2중창과 합창(6성부)
    콘체르토 Audi coelum (하늘이여 들으소서)

14.그레고리오성가
    안티폰 Dum esset rex  (임금님이 잔칫상에 계시는 동안)

15.합창(7성부)
    시편 147편 Lauda Jerusalem (주님을 찬양하여라)

16.소프라노유니송
    Sonata sopra Sancta Maria, ora pro nobis (성모 마리아여, 저희를 위하여 빌으소서)

17.합창(8성부)과 솔로앙상블
    찬미가 Ave Maris Stella (바다의 별이여)

18.그레고리오성가
   안티폰 Gloriosae Virginis Mariae  ortum dignissimum
   (영광의 성모 마리아의 지극히 마땅하신 탄생을)

19.합창(7성부)과 솔로앙상블
    Magnificat (제 영혼이 주님을 찬미합니다)

단원소개

뜨리니따스합창단
단장 : 이지영 카타리나

   Trinitas합창단은 음악 감독 신호철이 1999년 11월 창단하여 꾸준히 가톨릭 전례 음악을 연구하고 연주하는 합창단이다. 가톨릭 신자이면서 성악을 비롯한 음악을 전공하는 대학생과 졸업생을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례 음악의 발전과 보급을 위하여 주로 르네상스에서 현대에 이르는 모테트를 깊이 있게 연구하고 연주함으로써 경건하고 거룩한 미사 전례 음악의 모범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00년 11월 창단 1주년 기념 연주회를 필두로 갈현동, 목동, 잠원동, 논현동, 개포동, 사당5동, 당산동, 대전 노은동성당 등 여러 성당과 인천 신학교, 서울 신학교, 아시아 주교회의 등에서 초청 연주를 하였고 평화 방송을 통해 여러 번에 걸쳐 대중에게 소개된 바 있으며 현재는 가톨릭 전례문화 연구소 산하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Schola Gregoriana de Seoul
단장 : 이정범 베로니카

   Schola Gregoriana de Seoul (서울여성그레고리오성가단)은 1992년 7월에 창단된 성가대로 지난 14년간 국내 여러 본당에서 미사 성가를 봉헌했고 다수의 평화방송 출연과 여러 차례의 초청연주회도 가졌다.
   국외에서는 매 3년마다 열리는 벨기에, 와두(Watou) 국제 그레고리오 성가 페스티벌에 4차례 초청되어 호평을 받았으며, 6차례의 프랑스 초청으로 다수의 연주회를 가졌다.
   지휘자 최호영 신부와는 2003년 12월에 가졌던 대림절 묵상 음악회의 객원 지휘를 인연으로 2005년 4월부터 평화방송 출연 및 다수의 초청연주회를 가지며 현재는 가톨릭 전례문화 연구소 산하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가톨릭 심포니 오케스트라
   2006년 3월 가톨릭 전례문화 연구소 산하 단체로 가톨릭신자 기악전공자 40여명 2관 편성으로.  구성하였다. 창단이래 제1회 가톨릭합창 페스티벌에 출연하여 반주를하였고 7월 창단미사에서 수준높은 미사곡 반주와 오케스트라 연주로 호평을 받았으며 현재 창단연주회 준비로   이영화 상임지휘자의지휘로 매주 정기연습을 진행하고 있다.

지휘자 김철회 (사도요한)
서울대학교 성악과 졸업
오스트리아 모짜르테움 성악 Diplom
브르크너 주립대학 합창지휘 Diplom
강릉 시립합창단 상임지휘자 역임
현재. 노원구립 합창단 상임지휘자
     선화예술고등학교 합창단 상임지휘자
     뜨리니따스 여성합창단 상임지휘자
     개포동천주교회 교중미사  지휘자
     뜨리니따스합창단 상임지휘자
     가톨릭대 대학원, 선화예술고등학교, 그리스도 신학대학교 출강

지휘자 최호영 (사도요한)신부
가톨릭 사제, 오르간 연주가
독일 레겐스부르크 국립음대에서 교회음악을 졸업하고 뮌헨 국립음대에서 오르간과 그레고리오 성가를 전공하였다.
현재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 음악과 조교수이며 평화방송 '최호영 신부와 함께하는 교회음악 콘서트'를 진행하고 있다.




소프라노 김호정 (율리안나)

선화예술 중, 고등학교 졸업
오스트리아 빈 국립음대 졸업
빈 국제 음악 세미나 참가 및 연주
빈 Szene Wien 극장 오페라 <헨젤과 그레텔> 주역,
예술의 전당 기획 오페라 <심청><아내들의 반란>에서 주, 조역 출연
오스트리아와 한국에서 다수의 독창회 및 듀오 콘서트, 수십회의 실내악 연주
<대관식 미사(모짜르트)>, <장엄미사 (구노)>, <슬픔의 성모(뻬르골레지)>, <글로리아(비발디)>등 다수의 오라토리오와 미사곡 연주에서 솔리스트로 협연
음반 아베마리아 모음집 <Dominus tecum>출시 (바오로딸)
현재 교회음악과 실내악 분야에서 활발한 초청연주 활동 중
선화 예술학교, 선화 예술 고등학교, 가톨릭대 대학원, 가톨릭대 사회교육원 출강,
선화예술학교 합창단 지휘

소프라노 신자민 (마리아)
선화 예술 중고등학교와 동덕여대 성악과를 졸업한 후
독일 뒤셀도르프 국립음대에서  종교음악과 예술가곡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네덜란드 마스트리히트 국립 음악원에서 종교음악과 실내악, 오페라전공 최고 연주자 과정을 마쳤다.
귀국 후 다수의 오페라 주역과 종교음악 독창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동덕여대, 가톨릭대 평생교육원에 출강하고 있다.


메조 소프라노 박진아 (케롤라인세실)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에 입학하여 조태희 교수에게 사사했다.
   졸업 후 독일로 유학을 떠나 독일 트로싱엔 국립음대 대학원에 입학, 석사과정을 마치고 동 대학원에서 Monika Moldenhauer에게 최고연주자과정을 사사하였다. 그 외 Julia Hamari, Ingeborg Danz에게 사사하고 Monika Mauch에게 고음악을 수료했다.
   독일 바흐협회에서 주관하는 ‘바흐 아카데미’를 수료하였고 바흐 음악의 최고권위자 ‘헬무트 릴링’에게 발탁되어 그가 지휘하는 바흐 아카데미 오케스트라와 바흐 칸타타 BWV 125, BWV 10을 협연하였다. 이에 독일 슈투트가르트 신문(Stuttgarter Zeitung)에서는 ‘꾸밈없는 맑은 해석으로 편안한 추억에 머물게하는’ 로 평한바있고, 그 외 슈투트가르트 바로크 오케스트라, Ensemble T Polyphony, Wütembergisches Kammerorchester Heilbronn, Konstanz 오케스트라 등 다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으며, 바흐 미사 b단조 남부독일 순회연주에서 독일 Balingen 신문의 다니엘 제부르거(Daniel Seeburger)는 ‘알토 박진아의 거의 비브라토 없는 목소리로 천상의 아름다움을 이끌어낸, 그녀의 [아뉴스 데이]의 음악적 해석은 상당히 주목할만한 가치가 있다’ 라고 극찬했다.
   바흐 마태수난곡, 요한 수난곡, B단조 미사,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칸타타 연주 외 헨델, 텔레만, 브룩크너, 모차르트 등 다수의 미사곡에 독창자로서 아름답고 감동어린 맑은 해석의 종교음악을 선보인 그녀는 오페라 아리아의 밤, 가곡과 현대음악 등 여러분야에 걸쳐 활동하고 있다.

테너 이영화(마테오)
*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졸업, 단국대학교 음악대학원 수료
*  이탈리아 렛체 "티토 스키파 국립 음악원" Diploma 취득
*  이탈리아 로마 산타 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 "롯시니에서 초기 베르디까지의 이탈리아 멜로드라마" 과정 Attestato finale difrequenza 취득
*  이탈리아 로마 산타 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 "음악상의 가사" 과정 Attestato   finale di frequenza 취득
*  이탈리아 로마 A.I.D.A 아카데미 "발성과 연주" 과정 Diploma 취득
*  이탈리아 리바 델 가르다 "무지카 리바" 아카데미 성악 과정 Attestato frequenza 취득
*  이탈리아 로마 A.R.A.M 아카데미 "오페라 분석" 과정 Diploma 취득
*  이탈리아 페스카라 음악 아카데미 오페라 지휘과 Diploma 취득
*  이탈리아 리바 델 가르다 "무지카 리바" 아카데미 오케스트라 지휘과 Attestato frequenza 취득
*  이탈리아 로마 제 3회 로마 국제 오페라 콩쿨 우승
*  이탈리아 라티나 제 10회 "라우리 볼피" 국제 성악 콩쿨 우승
*  스페인 팜플로나 제7회 훌리안가야레 국제성악콩쿨 "호세 카레라스 최고테너상" 수상
*  이탈리아 로베레토 "리카르도 잔도나이" 국제 성악 콩쿨 입상
*  이탈리아 세미나라 제 3회 "빈첸초 노스트로" 국제 성악 콩쿨 입상
*  이탈리아 오스트라 제 1회 "안젤리카 카탈라니" 국제 성악 콩쿨 입상
*  이탈리아 아트리 제 2회 "리리코 다부르죠" 국제 성악 콩쿨 입상
   1997년 이탈리아 로마 국립극장에서 베르디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의 남자 주인공 "알프레도" 역으로 데뷔하였다. 이 후 모짜르트에서 푸치니에 이르기까지 수 십편에 이르는  다양한  작품에서 주연가수로 활약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KBS교향악단, 서울시향, 코리안심포니, 국립오페라단 등 주요 연주단체에 초청되어 협연하였다.
   한편 오페라 지휘와 오케스트라 지휘를 공부하였으며 이탈리아 페스카라 고도시 음악제에서 페르골레시(Pergolesi)의 오페라 "하녀마님(La serva padrona)" 을 지휘하며 지휘자로 데뷔하기도 하였다.
   유럽 음악계로 부터 "깊고 조화로운 음악표현" "이탈리아인 보다 더 이탈리아적인 가사표현" "이상적인 발성과 고음을 갖춘 완벽에 가까운 테크닉" 등의 호평을 받으며 정상의 음악가로 활동하고 있다.
   2005년부터 서울대, 단국대에서 강의하였고 현재 안양대 교수,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문화협회 "Amici dell'arte"의 예술감독, Orchestra Concentus Musici의 음악감독 겸 상임지휘자, 한국 카톨릭 심포니오케스트라 음악감독 겸 상임지휘자로 있다.

테너 박승희
   바로크 및 가곡 전문 성악가인 테너 박승희는 서울대 음대를 졸업하고 도독하여 칼스루에 국립음대에서 오라토리오/가곡 전공의 석사 및 최고연주자과정을 마쳤다.
   특별히 바로크시대의 교회음악에 큰 관심을 가진 그는 고음악으로 유명한 스위스의 스콜라칸토룸 바질리엔시스에서 바로크 성악 과정을, 독일의 트로싱엔 국립음대에서 고음악성악과정을 졸업하였다.
   이미 학업중에 독일 라이프치히 바흐 국제콩쿨에서 한국인으로 최초 바흐상을 수상하고 고음악콩쿨로 유명한 벨기에의 브뤼헤와 쉬메, 일본의 야마나시에서 연이어 입상하여 유럽은 물론 일본까지 그 활동의 영역을 넓히게 된다.
   바르톨드 쿠이켄의 지휘하에 바흐의 마태수난곡을 벨기에에서 연주하고, 라이프치히 성 토마스합창단과 바흐의 요한수난곡을, 네덜란드 바흐 마태수난곡 연주투어를 비롯하여 이탈리아 피사 교회음악페스티벌, 일본 메지로 바로크페스티벌 및 토치기 고음악페스티벌, 서울고음악국제페스티벌, 춘천고음악페스티벌, 독일 라이프치히 바흐 페스티벌(2003, 2005), 신바흐협회 바흐페스티벌(2006) 등의 초청연주를 갖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원전연주앙상블인 무지카 글로리피카와 연주를 시작으로 현재 바흐 솔리스텐 서울의 음악감독을 맡음으로 한국에서의 고음악 부흥운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바리톤  윤영덕(디모테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오스트리아 빈 시립음악원에 유학하여 오페라과를 수석으로 졸업한 후 독일로 옮겨 도르트문트 국립음악원 가곡과 교회음악과를 최우수의 성적으로 졸업하였다(사사:황병덕, 강무림, 요제프 홉퍼비저, 발데마르 크멘트, 베르톨트 슈미트).
   유학중 독일 리하르트바그너 협회의 장학생으로 선발되었으며 독일 도르트문트, 함, 뮌스터, 체코의 프라하, 욀뭇츠, 오스트리아 빈,헝가리 부다페스트, 스위스 상 막스 등지에서 '마태수난곡', 'B단조 미사' 외 다수의 바흐의 작품에서 독창자로 활약하였고, 하이든의 '사계', 베토벤 '교향곡 9번', 브람스 '독일 레퀴엠', 생 상 ' 성탄 오라토리오', 스트라빈스키 '외디푸스 렉스', 오르프 '카르미나 부라나', 브리튼 '전쟁 레퀴엠' 등 많은 연주회에서 독창자로 활동하였다.
   또한 오페라 무대에서도 유럽과 국내 무대에서 '복덕방 왕사장', '부자유친', '호프만의 이야기', '현명한 여인', '마술피리', '쟌니 스끽끼', '리골렛또', '피가로의 결혼', '돈 죠반니', '밀렵자'등 여러 오페라에서 주연과 조연으로 활동하였다.
   이외에도 오스트리아 황실 초청음악회, 윤이상 특별음악회, 독일 바그너협회 초청독창회등 현재까지 여러 음악회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으며, 현재 뮤지컬실기를 지도, 감독하고 있다.
  ■ 학력  
* 학사1991.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 석사 1997. 오스트리아 빈 시립음악원 성악과 오페라과
* 석사 2001. 독일 도르트문트 국립음악원 성악과 가곡과 교회음악과

바리톤 박승혁(베드로)
   서울대학교 성악과를 졸업하고 독일 슈투트가르트 음대와 트로싱엔 음대에서 석사와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슈투트가르트 오페라극장에서 'The junmping flog'으로 대뷔한후 바이커스 하임, 에를, 루드빅스 부르크 등의 오페라 페스티벌에 출연하였으며 스위스 취리히 오페라극장 스투디오의 전속 가수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또한 리트와 오라토리오의 해석에서도 탁월한 평가를 받아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일본, 대만등지에서 많은 연주를 하였다.
   2004년 귀국후 현재 백석대학교 겸임교수, 바흐 솔리스텐 서울 단장, 연세대 출강, 명지대 출강 중이다.

오르가니스트 강석희(아녜스)
   성심여고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작곡을 공부한 뒤 독일로 건너가서 오르간 전공으로 베를린 국립 예술대학을 졸업했다.
   1975년부터 명동대성당의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한 강석희는 그동안 여러 무대를 통해 자신의 음악세계를 선보여왔다.
   유학중에는 베를린 St. Bernhard 성당과 St. Canisius 성당 합창단 반주자로서의 활동을 비롯, St. Bernhard 성당 오케스트라와 협연하기도 했다. 그동안 국내무대에서 여러 차례 독주회(1988, 1989, 1992, 1994, 2001,2005)를 마련했고, 1992년에는 일본 히로시마 세계평화기념 대성당에서 초청 독주회를 가진 것을 비롯해서 1998년 이탈리안챔버 오케스트라의 명동성당 공연에 출연했다.
   또한 지난 해에 마무리된 부천시향의 말러 전곡 시리즈(임헌정 지휘, 예술의 전당)에서 오르간을 담당했다. 채문경, Frans Boon, Peter Wackwitz 교수에게서 오르간을 배운 그녀는 성심여고, 계원예고, 서울대학교 강사를 역임했고, 현재 수원대학교와 신구대학,가톨릭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류트 김영익
*  이태리  PAVIA  시립음악원 클래식기타 5년과정 수료
*  이태리  MILANO 베르디 국립음악원  졸업 (류트전공 : 10년 과정)
*  VENEZIA  고음악아카데미아 전문연주자과정  졸업
*  MILANO   아카데미아 전문연주자과정 졸업
*  MILANO  시립  악기제작학교 졸업(4년과정).  류트제작
*  SICILIA  순회연주, MILANO에서 수차례 연주
*  VENEZIA QUERINI STAMPALIA 박물관에서 르네상스 류트와 TIORBA독주 6회
*  귀국연주회 ( 2004년 6월 예술의전당)
*  춘천 고음악페스티벌 초청강사


명동성당에서 공짜 공연이 있다는 소식에.. 달려가봤다. 혼자 듣기엔 좀 힘들것 같은 교회 고음악이라, 꼭 공연장에서 그것도 천정이 높고 석조로 지어진 성당에서 들어보고 싶었던 이유이다.


몬테베르디의 성모마리아의 저녁기도... 주로 성악으로 이루어진 곡. 어려운 라틴어 가사. 6-8성부나 되는 다성음악. 호기심이 생겼다.


일찍 도착은 했는데, 성당 앞 편의점에서 김밥을 사고 세원씨를 기다리는라.. .그래도 한 20분 전에 들어갔는데, 이미 좋은 자리는 다 차있었다. 고음악공연... 으로만 생각했던 나에게 이런 성황은 정말 기대밖이었다. 나중에 생각해보니, 온 사람들 대부분에게 이 공연은 고음악 공연이 아니라 일종의 미사였던 것 같다. ... 음악만을 생각하고 온 나는 불청객이었던 것인가? ^^;;


여러가지 소개가 있고나서 공연이 시작되었다. 자리가 뒤쪽이라서 무대가 잘 안보였지만 소리는 정말 아름답게 잘 울리고 있었다. 예당 콘서트홀 같은 울림이 아니라, 상당히 성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고요한 울림이었다. 세원씨 말마따나 상당히 홀리한 분위기였다.


조금 지나서 그냥 무대를 보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약간 옆으로 옮겨서 성당 내부 군데군데에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를 봤다. 뭐.. 어쨌거나 소리는 직접 듣는 것이니... 자리가 뒤쪽이어서 사람들도 왔다갔다.. 심지어 전화도 받고... ㅡㅜ 음.. 이 공연을 음악회라고 생각하지 말아야 겠군...;;


중간중간의 안티폰으로 불리운 그레고리안 성가는 참 오랫만이었다.. 역시 홀리한 분위기^^ 객석까지 그 홀리함이 퍼지면 좋았으련만 좀.. 너무... 산만했다. 그래도 오래간만에 이런 음악을 들으니, 인간의 목소리가 정말 아름답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합창단과 오케스트라는... 그런대로 좋았고, 소프라노 김호정씨를 비롯하여.. 정말 아름다운 목소리와 노래... 그리고 바로크 성악을 하신 테너 박승희씨는 와... 정말 멋졌다. 이런 것이 바로크 성악의 매력이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또 다른 테너분들도 정말 아름다왔고.... 아마추어인 트리니따스 합창단의 한 분도.. 아마추어 같지 않은 멋진 무대였다.


중간 중간 기악부분도 정말 듣기 좋았다. 오보에가 성악과 보조를 맞추어 연주하는 부분.. 현악의 합주.. 다성음악의 진수를 들려주는 듯한... 아주 작은 오케스트라이지만 그에 알맞는 곡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약간 음량이 작은 듯했는데.... 으... 앞에가서 듣는 건데..ㅠㅠ 악기는 다 모던 악기였지만.. 괜찮았다^^


류트.. Tiorba의 모습을 멀리서나마 볼수 있었던 것도 좋았고.. 하지만 소리는 도통 들을 수가 없었다...ㅠㅠ  교회오르간 연주는... 잘 모르겠다.. 역시 음량이 작게 느껴진건.. 내 귀가 망가진 탓일까..ㅎㅎ


마지막 공연 후엔 신부님 (주교님?)의 축도와 성가 한곡으로 끝났다. 성가는 개신교의 성가보다는 역시 좀 더 홀리한 분위기가 느껴지는 곡이었다.


금요일엔 메시아를 보러간다. 역시 고음악 공연이고.. 정말 많이 기대가 된다^^

2006년 10월 26일 목요일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 내한공연 (협연 : 임동혁)

http://blog.naver.com/shubbiss/20029769499


이지 벨로흘라베크    Jirí Belohlávek, Chief Conductor Designate

 

체코출신의 저명한 지휘자 마에스트로 이지 벨로흘라베크는 2006 프롬스의  공연 지휘을 시작으로 BBC 새로운 지휘자로 등극하게 된다.

 

프라하 콘서바토리를 졸업한 마에스트로 벨로흘라베크는 1977 프라하 심포니의 음악감독 취임하였으며, 이후 12 동안 오케스트라를 이끌며  수준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1990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로 영입된 벨로흘라베크는 샨도스 음반관 손을 잡고 수많은 양질의 음반을 출시하였으며, 4 뒤에는 프라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를 창단한다. 창단  그는 체코에만 머무르지 않고 유럽을 무대로 활발하게 활동하였는데, 특히 2004 7월에는 세계적인 음악축제인 BBC 프롬스에 참가하여 하여 전세계 음악팬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공연을 계기로 그는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객원 지휘자로서 초청 받았으며, 임명과 동시에 마르티누의 <길가메쉬 서사시> 지휘하며 화려하게 데뷔한다. 그는  밖에도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비엔나 심포니, BBC 심포니, NHK 심포니를 지휘하였으며, 또한 활동 무대를 북미로까지 넓혀  프란시스코 심포니 오케스트라, 토론토 심포니, 워싱턴 심포니, 세인트 루이스 심포니, 몬트리올 심포니, 그리고 미네소타 심포니 등을 이끈  있다.


최근 그는 글라인본 페스티벌에서 <트리스탄과 이졸데>, 그리고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는 <카티아 카바노바> 지휘하여 평단의 찬사를 받았는데,  공연 이후에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  프란시스코 심포니 오케스트라, 비엔나 심포니 오케스트라,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로부터 러브콜을 받았다.

 

 밖에도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바스티유 오페라와의 공연이 예정되어 있으며, 2006 5월에는 베를린 필하모닉을 지휘한다.

 

BBC Symphony Orchestra

 

영국의 손꼽히는 오케스트라 중의 하나인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1930 아드리안 볼트에 의해 설립되어 70여년간 영국 음악의 중심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이름 그대로 BBC 전속 오케스트라로서 BBC 음악회의 척추역할을 하며 신년  송년 음악회 포함하여 매년 12 이상의 연주회를 선보이고 있다. 

 

BBC SO 바르토크, 브리튼, 힌데미트, 홀스트, 스트라빈스키, 쇼스타코비치와 윌리암스와 같은 현대 작곡가들의  1,000 개에 이르는 작품의 초연을 맡아왔을 정도로 20세기 음악과 최신 음악경향에 강한 애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현재에도 역시 이러한 BBC 활동은 매년 이어져오고 있는데, 2000년부터 2003년까지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협동 작곡자로서 활동한 마크 앤소니 튀니지를 비롯하여 샐리 비미쉬, 엘리엇 카터, HK 그루버, 로빈 할로웨이, 매그너스 린드버그, 제임스 맥밀란, 앤소니 패인, 카이야 사리아호, 데이비드 세이어와 같은 동시대의 뛰어난 작곡가들의 작품의 기념비적인 초연을 맡았다.  마디로 표현하면,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시즌마다 영국 청중들에게 새로운 작품을 다양하게 소개하기 위해 대단한 노력을 쏟고 있다는 것이다.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런던 바비칸 센터의 제휴 오케스트라로서 1 달의 20세기~21세기의 작곡가  명을 선정하여 집중 조명하는 ‘작곡가 위크 포함하여 바비칸 센터에서만 연간 25 회의 연주회를 선보이고 있다.

 

영국의 유력 일간지 ‘ 가디언 ‘멋지고 완벽한 기념비적인 공연이라고 극찬한 해리슨 버트위슬 경의 <The Second Mrs Kong> 비롯하여, 최근 시즌에서는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 카이야 사리아호의 <L'amour de loin>, 리게티의 <Le Grand Macabre>, 바버의 <Vanessa>  다양한 오페라 공연으로 평론가들의 갈채를 받고 있다.

 

올해의 신년 음악회에서 지리 벨로흘라벡이 최고 지휘자로 지명되었고, 10월에 데이비드 로버트슨은 예카 페카 사라스테로 부터  객원 지휘자를 이어 받았다. 그리고 명예지휘자인 앤드류 데이비스 경까지 BBC SO 지휘자 3명은 2005-2006 시즌에서는 한층  다양한 활약을 선보일 예정이다. BBC SO 모든 공연은 BBC Radio 3  전파를 타고 방송되며,    번은 텔레비전을 통해서 실황 중계된다. 따라서 BBC SO 영국   어떤 오케스트라 보다 방송 노출 횟수가 가장 많은 오케스트라라고   있다. BBC SO 주요한 활동은 BBC Radio 3 방송을 위한 스튜디오 녹음으로서, 대중에게 무료로 공개되기도 하며   녹음활동으로는 영국 내와 해외에서 몇몇 음반 레이블을 위한 녹음활동 등이 있다.

BBC SO 연주여행을 통해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는데, 매년 영국 내외의 다양한 음악 축제에 참가하는 것을 비롯하여, 최근의 남미 지역 투어 등과 같이 해외 고정 연주회 또한 갖고 있다.


사회봉사 활동 역시 빼놓을  없는 BBC SO 활동 영역인데, 대표적인 것으로 마이다 , 해머스미스, 풀햄 지역에 기반을  학교와 지역 사회에서도 다양한 프로젝트들이다.

 

PROGRAM

 

 

슈트라우스             주앙

STRAUSS                 Don Juan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1 K. 467 (협연 : 임동혁)

MOZART               Piano Concerto No 21 in C Major, K.467(Soloist: Dong-Hyek Lim)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5

SHOSTAKOVICH       Symphony No. 5 

-----------------------------------------------------------------------------------------------------------------------------

일자 : 2006년 10월 22일 (일)
시간 : 오후 2시 30분
장소 :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10월초 홍콩출장을 다녀온 이후로 이상하게 몸이 피곤했다. 주말에도 제대로 못쉬어서 그런것인지 아니면 환절기라 그런 것인지... 피곤해도 동혁군의 모차르트를 볼 수 있다는 생각에 즐거운 마음으로 예술의 전당으로 향했다.. 간만에 지각하지 않고 여유있게 좌석을 확인하고 객석에 자릴 잡았고 연주는 BBC의 돈주앙으로 시작했다.


사실 BBC의 연주는 들어본 적이 없다. 명성이야 들어봤지만 말이다. 돈주앙은 힘차게 시작했고, 연주는 깔끔하고 세련되게 느껴졌다. BBC의 세련된 느낌은 연주회 내내 지속되었었다.


드디어 기다리던 모차르트 피협. 동혁군이 샤방한 미소를 날리면서 입장했고, 생각보다 깔끔한 터치와 맑은 음색에 감탄했다. 그의 주특기인 빠른 연주는 모차르트에서도 여전했다. 하지만, 모차르트 본인도 저렇게 빠르게 연주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들만한 정도의 속도여서.. 듣기에 전혀 무리는 없었다. 다만, 동혁군의 연주 내내 몇명의 BBC단원들이 상당히 불편한 표정으로 그를 바라보고 있는 점이 마음에 걸렸다. 박자를 맞춰주는게 어려웠나...


보통 국내 오케 단원들은 별로 밝은 표정으로 연주하지 않지만, 해외 오케들은 주로 여유있고 밝은 모습으로 연주를 하는 것을 봐왔기에.. 그들의 불편한 표정에 내가 불편했다. 그러나... 동혁군의 피아노만은 정말 맘에 들었다. 아름답던 2악장 보다는 오히려 밝고 빠르게 연주하는 1,3악장이 동혁군의 모차르트.. 라는 느낌이 들어서 더 좋았다. 지난 번 부닌이 와서 모차르트 23번을 연주했을때.. 페달을 너무 많이 밟는다는 느낌이 들어서 웬지 지저분하게 들리던 모차르트와는 사뭇 대조적이도록 페달링도 맘에 들었고, 음색도 예뻤다. 3악장을 들으면서... 동혁군이 발전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기분이 좋았다.


이제 그는 그의 피아노 커리어에서 아주 중요한 시기를 맞고 있다. 수많은 콩쿨에서의 입상, 수상과 EMI에서의 음반작업 등이 성공을 거두었어도, 피아노는 다른 악기보다 유독 경쟁이 치열한 분야. 신동의 이미지로 현재까지 왔다면, 그에게는 이제 절대적으로 음악적인 깊이가 필요한 시기가 되었다. 20대 중반으로 가고 있는 그의 나이도 청중들이 그에게 깊이있고 생각하는 음악을 요구할 때가 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요 몇년간 쇼팽에 경도되어 있었던 그의 레파토리도 다양화할 때가 되었다. 진지하고, 성실한 연주자의 모습을 나부터도 몹시 바라고 있었다. 그런 그의 이번 모차르트는 쇼팽연주에서 늘 보여주던 연주을 극복한 어떤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인터미션. 바친기의 웰백님과 어떤곰님과 캔커피를 까먹고... 바로 다시 객석으로 들어가서 귀를 기울였다. 쇼심 5번. 음... 예습을 안했군... 이라는 생각이 들었으나.. 역시 쇼스타코비치는 실연이 훨씬 강렬하다. 1, 2악장 모두 게으른 학생에게도 축복을 주고 있었다. 그런데.... 문제는 3악장 부터.. 내 체력이 한계에 이른 것이다. 토요일에도 일찍일어나 하루종일 이일 저일에 시달리고, 당일에도 6시반에 일어나, 지윤이 스피치 대회에 갔다가.. 온 터라.... 그만 전혀 졸리지 않은 음악이었는데도.. 졸리기 시작한 것이다..ㅠㅠ


음악회에서 존 적이 별로 없었는데... 3, 4악장 모두 멋진 연주다... 라고 생각하면서 정신이 혼미해지길 몇번... 연주는 끝나있었다..ㅡㅡ;;; 앵콜은 드보르작 슬라브닉 댄스 넘버원, 그리고 그 다음은 넘버 에잇. 지휘를 한 벨로흘라베크가 체코라서 드보르작일까... 이것도 예습을 안해서.. 걍 패스. 다만 연주 자체는 역시 세련 깔끔이었다.


이제 11월.. 즐거운 연주회가 잔뜩 기다리고 있다. 기대만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