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11월 21일 금요일

[공연] 이안 보스트리지,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 2008년 11월 19일

고양 아람누리는 처음 가보는 곳이라서 시간을 넉넉하게 잡고 출발했는데, 퇴근시간의 강변북로가 심하게 막혔다. 허겁지겁 도착하니 공연 10분전이다. 표를 어디서 예매했는지도 기억이 안나서...;; 좀 헤매다가 표를 찾았는데 프로그램도 다 팔렸는지 없고 에라 모르겠다 그냥 들어가서 자리에 앉았다. 깔끔한 공연장이 맘에 든다. 합창석이 생각보다 넓게 되어 있는데, 내가 앉은 자리 앞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바의 높이가 마침 내 눈높이라 무대가 잘 보일까 조금 걱정이 되기도 했다.

보스트리지와 함께 무대에 등장한 줄리어스 드레이크는 피아노에 앉자마자 첫 곡을 연주하기 시작했다. 보스트리지는 꽤 로맨틱하게 보이던 사진과는 달리 좀 심하게 마른 모습이어서 과연 노래는 끝까지 부를 수 있을까 심히 우려될 지경이었다. 프로그램이 없이... 따라서 가사도 없이... 독일어 리트를 듣고 있어야 하는 상황이라... 좀 불안했는데...

보스트리지의 노래는 그런 걱정을 말끔히 가시게 해주었다. 일단... 그의 목소리는 정말 미성이다. 씨디에서 듣던 그 목소리가 실제로도 그 목소리였군... 이라는 생각(당연하지만..;;)이 들었고.... 쓰러질 듯 피아노에 기대어서 또 피아노를 잡고 부르는 여윈 보스트리지의 음량은 생각보다 크고 맑았다. 그가 표현해 내는 슈베르트는 마치 연극을 보는 듯했고, 피아니시모를 정말 피아니시모 답게 그러면서도 아름답게 연주하는 모습은 정말 감동이었다.

원래 비극적인 곡이긴 하지만... 보스트리지의 음성으로 듣는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는 보다 더 슬픔과 쓸쓸함이라는 감성을 자극했다. 그게.... 추워진 날씨 탓으로 더욱 그러했던 것도 같고... 말도 안되게 어려워지고 있는 경제상황 때문에 더 그렇게 느껴졌던 것 같기도 하다. 어쨌든... 그의 노래는 너무나 감성적이어서 눈물이 날 정도였다.

연주를 들으며 내가 예전에 정말 슈베르트를 좋아했었던 것을 생각해 내었다. 사실 중학교때 내가 제일 좋아했던 작곡가는 슈베르트였는데... 아름답고 서정적인 멜로디들이 가득 찬 곡들이 그렇게 많다는 것도 놀라왔고, 그의 비극적인 삶도 안타까웠다. 그의 천재가 가난과 고통에 묻혀 만개하지 못한 것이 한창 사춘기 시절이었던 그 때 무척 슬프게 느껴졌던 것 같다. 보스트리지의 슈베르트는 바로 그 슬픔이 절절하게 묻어나는 연주였고.... 눈을 감고 있으면 정말 슈베르트가 자신의 이야기를 자신의 감정으로 들려 주는 것 같다는 상상을 할 수 있었다.

피아니스트 드레이크와 보스트리지는 완벽한 듀오를 이루었다. 정말 한 팀을 이루어서 같은 감정과 같은 호흡으로 연주하는 모습이었다.

20곡의 연주는 한 두번의 인터발을 제외하고는 계속 이어져서 연주되었는데, 합창석에서 어떤 이상한 아저씨가 곡 사이 사이마다 박수를 쳐 곡의 흐름을 엄청나게 방해했다. 그 쪽으로 신경을 쓰지 않으려고 해도 끊기는 흐름때문에 정말 짜증이 났는데, 보스트리지도 중간에 한 번 그 아저씨를 째려 보았던 듯 하다..;;; 그나마 후반부에는 박수를 좀 덜 치긴 했는데.... 20번째 노래가 끝나기도 전에 터져 나온 안다 박수는 .... 정말 속상하기 짝이 없는 일이었다. 어떻게 그렇게 끝나는 노래에 그런 박수를 칠 수가....;;; 도무지 이해가 안되는 상황.

보스트리지와 드레이크는 앵콜로 슈베르트의 작별을 들려 주었는데 (그가 한국어로 제목을 말해 주었던 것 같은데... 잘 안들려서 정확치 않다) 아무래도 그 곡을 선택한 이유는 관객들이 마지막 부분 쉼표에 있는 페르마타의 끝까지 관객들이 박수를 치지 않고 기다릴 수 있는지 시험해 보려는 게 아니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여간... 그 날의 관객들은 본 공연의 안다박수를 반복하지 않고 무사히 시험에 통과했다. 곡의 여운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아름다운 순간이었다. 느낌인지.... 보스트리지와 드레이크의 표정도 아까보다는 훨씬 밝아진 듯 했다.

막 겨울이 시작된 차가운 날... 그리고 이 겨울이 얼마나 오래갈 지 또 얼마나 추울지 도대체 알 수가 없는 요즈음... 슈베르트의 아름다운 음악은 그래도 위안이 되었다. 멀리 고양까지 다녀온 보람이 있었다.

2008년 11월 6일 목요일

[공연] 파비오 비온디와 에우로파 갈란테 2008년 11월2일

비온디와 에우로파 갈란테가 서울에서 사계를 공연했었으면 카르미뇰라와 너무 비교될라나.. 라는 생각을 하면서 공연장을 찾았다. 오늘 매진이라는 말에... 공연장 분위기가 안좋을까봐 걱정을 했었는데, 왠걸... 분위기는 정말 좋았다. 주말이라 상당수의 커플들로 좌석이 채워졌긴 하지만..^^

비온디는 사진 속의 꽃미남이 아니라... 통통한 몸집과 통통한 손을 가진 아저씨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에우로파 갈란테의 구성은 베니스바로크와 비슷했지만, 첼리스트가 두 명이었다. (두 대의 첼로 때문인지 뛰어난 첼리스트 덕분인지... 연주에서 바쏘 콘트뉴오의 역할이 무척 돋보였고 강한 저음부가 인상적인 부분들이 많았다.) 파르마의 음악가들의 생김새는 베니스바로크 보다는 더 자유분방해보였는데, 실제로 연주하는 모습은 더 긴장되어 보였다는 점이 약간의 차이점. 비온디는 본 프로그램 시종일관 보면대에 악보를 펼쳐 놓고 매우 진지한 표정으로 연주를 했다.

축제라는 부제가 달린 비발디의 신포니아로 화려하고 정갈하게 연주가 시작되었고, 이어지는 르끌레르는 프랑스곡다운 우아함이 느껴졌다. 비온디는 호소력있는 풍부한 음색으로 바이올린을 연주했는데, 적절하게 비브라토를 (통통한 손으로) 구사하는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강한 스타카토 또는 소티에의 3악장도 멋졌다. 1부의 마지막에는 무대 한 구석에 놓여져 있던 비올라 다모레가 등장했다. 비온디의 비올라다모레에는 턱받침도 끼워져 있었는데, 비올라다모레와 류트의 2중주가 서정적으로 연주되었는데.... 나에겐 비올라다모레보다 류트가 더 아름답게 들렸었다. 비올라다모레는 좀 더 달콤하고 좀 더 조화로운 느낌이 나면 좋겠다는 생각... 3악장에서 비온디는 춤추는 듯한 모습으로 단원들을 이끌었다.

다채로운 퍼셀의 모음곡에 이어.. 라 스트라바간자에서 비온디는 화려한 비루투오조적인 테크닉을 보여주었고 본 프로그램의 마지막 비발디 협주곡으로 이어지자 관객들은 모두 숨죽이다 연주가 끝나자 환호하기 시작했다. 특히 첼리스트 마우리찌오 나데오의 카리스마는 단연 돋보였다. 사실 좀 무섭게 생긴 인상에 겁먹었었는데 마지막 곡에서 감동.....

이 이탈리안들도 역시 화끈하게 3곡의 앵콜을 들려 주었다. 첫 곡은 피치카토로 연주되는 귀엽고 아름다운 소곡. 그리고 이어진 것은 사계 중 여름. 비온디는 마치 록 기타리스트처럼... (심지어 앉았다 일어서는 제스쳐도 보여주며) 관객을 사로잡는 멋진 연주를 보여 주었다. 마지막 앵콜곡까지... 이 연주회는 앵콜곡들이 핵심이었던 것이 아니었을까 싶은 느낌이 들 정도였다. 11월을 유쾌하게 시작할 수 있으리라는 느낌이 들게 해준 연주... (과연..?)
------------------------------------------

프로그램

비발디 “세느강의 축제” RV693 중 신포니아
A.Vivaldi – Sinfonia dalla Senna Festeggiante RV693

르끌레르 바이올린 협주곡 C장조 Op.7 No.3
J.M Leclair Concerto per violino Op.7 No.3 in Do Maggiore

비발디 비올라 다모레와 류트를 위한 협주곡 RV540
A.Vivaldi Concerto per viola d'amore e liuto RV540 re minore
(비올라 다모레: 파비오 비온디 / 류트: 잔자코모 피날디)

Intermission - 15분

퍼셀 “무어인의 복수” 모음곡
H.Purcell Suite from Abdelazar

비발디 바이올린 협주곡 “라 스트라바간자” 제4번 a단조 RV357
A. Vivaldi - Concerto RV357 in la minore per violino ed archi da "La Stravaganza"

비발디 “조화의 영감” 12개의 협주곡 Op.3 중 No.11
A.Vivaldi Concerto Estro Armonico Op.3 No.11

앵콜곡
1. 글루크 : 발레 "돈 주앙" 중 피치카토
2. 비발디 :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 중 '여름' 마지막 악장
3. 코렐리 : 콘체르토 그로소 D장조 Op.6 No.4 중 마지막 악장

8년 만의 정권교체

미국에 정권교체가 이루어진다. 놀랍게도..... 선거 기간에 공화당에서 "좌빨"이라는 소리까지 들었던 진보적 민주당 후보인 오바마가 압도적인 지지율로 당선이 되었다는데... 오른쪽에서도 많이 오른쪽으로 가있다고 믿었던 나라 중의 하나인 미국이 확실히 그동안 많이 힘들었던 가보다. 이제 과연 그 "잃어버린 8년"을 되찾을 수 있을까? 아니.. 지난 8년간 망가져서 만신창이가 된 그 환자는 소생할 수 있을까...

61년생인 오바마는... 한국 식으로 따져본다면 386세대인 셈이다 (이젠 486인가..). 인권변호사에 빈민운동가 출신이라고 소개되고 있으니 한국의 386들과 나름 공감대가 있을 수도 있겠다. (물론... 어쩌면 지금의 그 386들에겐 아닐 수도 있겠지만..;;;) 그래서 더더욱 이번 미국 대선은 2002년의 한국 대선을 연상하게 만드는 모양이다. 뭐... 사실 오바마가 승리하도록 도와준 일등공신이 조지 부시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분명히 있긴 하다.

어느 정도 여론조사 등을 통해 예상되었던 선거의 결과이긴 했지만, 그래도 막상 흑인에다가 민주당에서도 진보파였던 오바마가 당선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으니.... 미국민들이 부러워진다. 오바마가 잘난 대통령 후보이기 때문이 아니라.... (그가 연설하는 것을 보면.. 뭐.. 확실히 멋져 보이긴 하더라. 지도자란 모름지기 그런 비전을 보여줘야...)... 변화와 희망을 이야기하는 오바마를 뽑을 수 있었던 미국인들의 그 "희망"이 부러워진다는 말이다. 그건... 내가 산 집값이 떨어지지 않게 또는 조금이라도 오르게 해달라고 한 표를 던졌던, 대규모 건설 공사를 해서 내 땅값이, 우리 동네 땅 값이 오르게 되었으면 하는 조금 다른 "희망"을 가지고 투표를 했던 작년 겨울의 한국인들의 모습이 떠오르기 때문이기도 하다.

내가 아는 미국의 중산층 이상 백인 중에 꽤 많은 사람들이 온건한 공화당 지지자들이다. 그들은 부시를 지지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공화당을 지지한다. 그들의 일상생활은 정치적이지 않고, 건전하고 바른 생활을 한다. 그들은 올바르게 살려고 하며 친절하고 따스하지만... 전통을 중시하고 변화를 싫어한다. 내가 아는 미국인 한 분은 부통령 당선자인 조 바이든의 재산이 2억도 안된다는 이야기를 전하면서... 자신은 그건 자랑이 아니라 무능하다고 이야기하는 것 밖에 안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었다. 내가, 본인 재산으로 선거운동 자금을 조달해서 그렇게 된 것 아니겠냐고 했더니... 그럴리가 없단다. 물론 그가 실제로 무능한지 아니면 나름 깨끗한 정치를 했는지는 나로서는 모르는 일이다 (크게 관심도 없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미국인들의 생각이 그 분과 비슷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미국은 정말 진보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정치하기 힘든 나라겠구나라는 생각을 잠깐 했었다.

사실... 오바마가 과연 미국을 어떻게 끌고 갈 수 있을지.. 민주당 정권이 자신을 공화당과 얼만큼 차별화시킬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알게될 일이긴 하다. (그래도 금리인하와 건설경기 부흥만이 살 길이라고 외치는 어느 나라 정부보다는 일단 더 믿음이 가긴 한다...ㅡㅜ)

그건 그렇고... 오바마의 당선이 예상되었던 오늘 아침부터 나오는, 이와 관련된 국내 뉴스들을 보니... 코미디도 그런 코미디가 없는 듯 하다. 정말 어떤 개그 프로그램보다 재미있긴 한데... 이 개그의 문제점은 한참 웃다가 조금 후에 상당히 우울해진다는 점이다. 그들에게 미국은 어떤 종교와도 같은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도 좀 들고.

어쨌건... 자신들도 "유색인종"이면서, 흑인이라고, 남쪽 나라 출신이라고 발 아래로 보는 그런 한국인도 많은데... 미국의 흑인대통령의 등장은 그런 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한 충격을 던져 줄 수도 있을 듯 하다. 이래 저래... 이번 미국 선거 결과는 반길만 한 일인 듯.....

2008년 11월 5일 수요일

[공연] 로버트 레빈 피아노 리사이틀 2008년 10월31일

많이 기대했었고, 기대했던 것 만큼 재미있었던 공연이다. 클라라 하스킬이 모차르트를 가장 아름답게 연주하는 연주자라면, 레빈은 모차르트를 가장 재미있게 연주하는 연주자가 아닐까.

CD를 들고 갔었더라면 연주회가 끝나고 싸인을 받는 건데... 라는 생각도 간만에 들었다. (시간이 안맞아 연주회를 갈까 말까 계속 망설였었는데.. CD를 들고 가는 것까지 생각을 했었을리가 없긴 하다..ㅠㅠ)

특이하게도 레빈은 무대로 나오자 마자 마이크를 들었다. 오랫동안 교단에 서왔던 교수님답게 어찌 달변이던지... 사려깊은 교수님께서는 영어에 익숙치 않은 한국 관객들을 위해 아주 천천히 또박또박 알기 쉽게 자신이 오늘밤 어떤 연주를 계획하고 있는지, 그 연주가 현대의 많은 연주자들의 연주와 어떻게 다른 것이 될지 잘 설명을 해주셨다. 모차르트 시대에는 notes들을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story를 들려 주는 것이라는 것 (지금도 음악 아니 모든 예술은 예술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있어야 예술이 되는 것이 아닌가..). 전반부는 fake improvisation이 될 것이라며 볼프강 아마데우스가 즉흥연주를 잘 하지 못하는 누이 난넬을 위하여 작곡한 곡을 연주할 것이며, 후반부에는 real improvisation을 선보일 것이라며, 관객들이 적어내는 테마를 improvise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Art is all about communication"이라는 이야기를 하며 여기 있는 모두가 10월31일 H.O.A.M 아트홀에서의 콘서트를 잊지못할 시간으로 만들어 보자고 하면서 그는 뒤에 놓여 있는 스타인웨이 피아노로 돌아가 연주를 시작했다.

레빈의 포르테피아노 연주를 은근히 기대했었지만, 악기가 스타인웨이여도 그의 연주는 특징적이고 인상적이다. 다양한 장식음과 카덴차들이 그의 연주들을 반짝반짝 빛나게 만들었는데, (그 연세에도 불구하고) 정말 재기넘치는 연주자가 아닐 수 없다. 언뜻 봤을 때는 전에 왔을 때 보다 좀 더 나이들어 보였지만, 모차르트를 연주하고 있어서인지 피아노 앞에 있는 그는 마치 모차르트의 재현인 듯 젊고 열정이 넘쳐 보였다.

첫 곡 F major 소나타의 빠른 악장에서는 정말 18세기 관객들 앞에서 연주하는 모차르트가 상상되었고... 짧은 프렐류드로 12개의 변주곡과 첫 소나타를 연결했다. 12개의 변주곡은, 그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variation에 more variation이 넣어져 연주되었는데, 변주마다 단순히 몇 개의 음들이 바뀌면서 조금씩 느낌이 달라지기도 했고, 장식음들이 첨가되면서 색다른 느낌을 주기도 했다.

드디어 후반부. 악보를 읽고 쓸 수 있는 사람들은 다 모차르트 풍의 테마를 적어 넣어 달라고 레빈이 부탁했었는데... 나와는 달리... 악보를 읽고 쓸 수 있는 분들이 많았던 듯 하다..^^; (음치인 나는 인터미션 동안 음악과 전혀 관계없는 책을 읽었...) 레빈이 연거푸 C major 테마 두 개를 뽑아 내었고, 그 다음엔 too many C major라고 살짝 투덜대면서 다른 조성의 테마들을 두 개 더 뽑았다. 아마도 b minor와 c minor (나는 속으로 "음.. 다장조가 아닌 테마들을 써낸 사람들도 있군..."이라고 생각했었다는...;;;) 뽑은 4개의 테마들을 들고 그는 이제 연주를 시작한다며 Ladies and gentlemen, Fasten your seat-belt! 하고는 연주를 시작했다.

호... 4개의 테마들이 레빈이 생각하는 모차르트 스타일의 변주들로 쭉 엮이기 시작하는데.. 정말 그것은 놀랍고 즐겁고 특별한 경험이었다. 그제서야... 나도 테마를 한 번 써내어 볼 걸 그랬다는 후회가 들기 시작했다..ㅠㅠ 어떻게 저렇게 아이디어가 풍부할까 싶은 변주들이 이어졌고, 그 중 그다지 모차르트스럽지 않은 테마들마저 그의 변주로 모차르트식의 음악으로 탈바꿈하는 모습도 정말 재미있는 장면이었다. 그는 첫 주제로 다시 돌아가 4개의 혼합 테마에 의한 모차르트 즉흥변주곡을 끝마치고는 잠시 무대 뒤로 들어갔다 나와서는, 마치 지금 빨리 안가면 열차를 놓칠 사람처럼 이제 우리는 b flat major로 가야한다면서 피아노에 앉았다. 모차르트가 너무 빨리 죽는 바람에 완성하지 못했을 거라는 두 개의 소나타의 연주와 K.333도 역시 그의 재기발랄한 음악으로 가득 메워졌다.

레빈이라는 천재가 보여 준 유쾌한 음악적 상상력으로 가득 찬 특별한 연주회. 그는 확실히 communication이 무엇인지를 아는 예술가임에 틀림없다.

------------------------------------------
 All Mozart Program 

-소나타 F 장조 K. 533/494
-프렐류드(F 장조에서 C 장조로 전조, K. deest + 624 (626a) Anh. I, (K6 Anh. C 15.11)
-‘아, 어머님께 말씀 드리죠’ 주제에 의한 변주곡, K. 265

Intermission 

-모차르트 테마에 의한 즉흥연주 (10-15분)
-알레그로, 소나타 B-flat 장조, K. 400 * 
-알레그로, 소나타 in G 단조, K. 312 *
-소나타 B-flat 장조 K. 333 

* 는 본래 미완성 곡이며, 이번 공연에서 로버트 레빈이 직접 완성한 버전으로 연주합니다. 


레빈이 관객들이 적어 낸 테마들이 있는 통에서 테마를 뽑으며 읽어 보고 있는 장면
(출처: 호암아트홀. 조선일보)